지카바이러스1 아프리카를 휩쓸었던 지카바이러스 1947년 우간다 붉은 털 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, 인체감염 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되었습니다. 감염경로는 3가지로 나뉘는데요. 가장 많이 걸리는 경로는 숲 모기에 의한 전파로 감염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 감염되지 않습니다. 두 번째로 수혈 경로가 있습니다. 수혈 경로는 감염된 사람의 피가 그렇지 않은 사람의 몸속에 들어갔을 때 감염이 된다고 합니다. 마지막 세 번째로는 성접촉 경로입니다. 말 그대로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과 성관계를 맺으면 감염된다고 합니다. 지카바이러스는 예방접종과 치료약이 딱히 없습니다. 그래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모기 기피제, 방충망, 모기장을 사용하고, 긴소매, 긴 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 최소화.. 2020. 1. 23. 이전 1 다음